맨위로가기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은 1953년 7월 27일, 유엔군, 조선인민군, 중국 인민지원군 대표 간에 서명된 문서로, 한국 전쟁의 완전한 중지를 규정한다. 이 협정은 군사 분계선과 비무장 지대를 설정하고 포로 교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정전 협정은 군사적 휴전만을 의미하며, 평화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다. 협정 체결 이후, 유엔군 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 감독위원회가 설치되었으나, 북한은 협정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2018년에는 종전 선언 논의가 있었으나 북미 정상회담 결렬로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체결된 조약 -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 전쟁 휴전 직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통해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주한미군과 작전통제권 관련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1953년 체결된 조약 - 발칸 협약 (1953년)
    발칸 협약 (1953년)은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터키가 체결한 정치 협약으로, 유고슬라비아를 서방 영향력 아래 두고 발칸 지역 안정을 도모하며 회원국 간 분쟁의 평화적 해결, 상호 방위, 방어 능력 강화를 목표로 했으나, 키프로스 분쟁과 소련과의 관계 개선 시도로 결속력이 약화되었다.
  • 중국의 조약 - 한중 자유 무역 협정
    한중 자유무역협정은 2012년 5월 협상을 시작하여 2015년 12월 20일 발효된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자유무역협정으로, 양국 교역 확대, 관세 철폐, 개성공업지구 생산품 혜택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시장 의존도 심화 우려와 지식재산권 보호 등의 협력 과제를 안고 있다.
  • 중국의 조약 -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
    남태평양 지역 수산 자원 관리를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인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SPRFMO)는 뉴질랜드 웰링턴에 사무국을 두고 크레이그 러버리지가 사무국장이며, 오스트레일리아, 칠레, 중화인민공화국, 쿡 제도, 쿠바, 에콰도르, 유럽 연합, 페로 제도, 대한민국, 뉴질랜드, 페루, 러시아, 타이완, 미국, 바누아투 등이 회원국이다.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개요
휴전 협정 조인 장면
양측 대표들이 판문점에서 한국 휴전 협정에 서명하고 있다. 이로써 두 한국 간의 휴전이 시작되었다.
유형휴전
서명일1953년 7월 27일
서명 장소판문점, 한국
발효일1953년 7월 27일
서명 당사자윌리엄 K. 해리슨
마크 웨인 클라크
남일
김일성
펑더화이
참여국유엔군사령부
조선인민군
중국인민지원군
사용 언어영어, 한국어, 중국어
명칭
한국어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영어Korean Armistice Agreement
중국어韓國停戰協定 / 朝鮮停戰協定
조선어한국정전협정 / 조선정전협정
일본어朝鮮における軍事休戦に関する一方国際連合軍司令部総司令官と他方朝鮮人民軍最高司令官および中国人民志願軍司令員との間の協定
배경 및 영향
목적조선에서의 전쟁 행위와 무력 사용의 완전한 정지
관련 정보
관련 문서판문점 선언
추가 정보http://www.ourdocuments.gov/doc.php?flash=true&doc=85&page=transcript www.ourdocuments.gov

2. 정식 명칭

정식 명칭은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이다. 영문으로는 “Agreement between the Commander-in-Chief, United Nations Command, on the one hand, and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a military armistice in Korea”이고, 중국어로는 "朝鮮人民軍最高司令官及中國人民志願軍司令員一方與聯合國軍總司令另一方關於朝鮮軍事停戰的協定"이다.

한국어의 정전은 영어의 'ceasefire 혹은 truce'에 대응하고, 휴전은 영어의 'armistice'에 대응하는데 협정서 명칭이 제각각이라 혼란이 존재한다.[132] 부연하자면 영문 협정서 원본에는 ‘armistice’로 되어 있는데 반하여 중문 협정서 원본에는 이것이‘停戰(정전, ceasefire, truce)' 그리고 북한의 한국어 협정서 원본에도‘정전’이라 기록되어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측의 협정문 번역본은 이것을 다시 '휴전(休戰, armistice)’이라고 기재했다.[133][134]

일본어로 된 정식 명칭은 "'''조선에서의 군사 휴전에 관한 일방 국제연합군사령부 총사령관과 타방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간의 협정'''"이다.

3. 협정 체결까지의 배경

유엔군 측에서는 1950년 12월 미국영국 간 평화 협정 합의가 있었으나, 공산측 반대로 유엔 총회에서 무산되었다. 공산측은 1951년 6월 13일 모스크바 회담에서 "38선 경계선 복구 조건의 휴전"을 결론 내렸다.[125] 이후 양측 휴전 회담은 1951년 7월 10일부터 시작되었다. 1953년 유엔에서 인도가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체결을 제안했다.[126][127][128]

대한민국 이승만 대통령은 북진 통일을 주장하며 휴전에 반대했으나, 유엔군 사령부는 지지하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은 완전 통일을 추구했으나, 전선 교착, 인명 및 물자 손실, 미국의 공습과 핵 공격 위협으로 휴전 협상으로 기울었다.[67][68] 중화인민공화국은 초기 휴전에 소극적이었으나,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후 전화를 수습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소련 이오시프 스탈린은 전쟁 지속이 공산 측에 유리하다고 보아 휴전에 소극적이었으나, 1951년 6월 가오강과 김일성 설득으로 휴전 협의에 동의했다.[71]

3. 1. 국제 정세

한국 전쟁 중 김일성조선인민군 장성들을 묘사한 모자이크


1950년 12월 중순, 미국은 한국 전쟁 종전을 위한 협정 조건에 대해 논의했다.[8] 이 협정은 교전을 종식시키고, 재개에 대한 보장을 제공하며, 유엔군 사령부의 미래 안보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미국은 모든 협정을 감독할 혼합 구성의 군사 정전 위원회를 요구했다. 양측은 "한국에 공중, 지상 또는 해군 부대나 인력의 증원을 중단하고... 한국에 존재하는 전쟁 장비와 물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삼가"하는 데 동의해야 했다. 미국은 대략 약 32.19km 폭의 비무장 지대를 만들기를 원했다. 제안된 협정은 또한 미국이 일대일 교환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믿었던 포로 문제도 다룰 것이었다.

1951년 5월 말과 6월 초,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은 평화 회담에 반대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압록강까지 진격하여 국가를 완전히 통일하기 위해 군대를 계속 확장해야 한다고 믿었다. 유엔군 사령부는 이승만의 입장을 지지하지 않았다. 유엔군 사령부의 지원 없이도, 이승만과 대한민국 정부는 압록강까지의 전투 중단에 저항하기 위해 대중을 동원하려 했다. 다른 대한민국 관리들도 이승만의 야망을 지지했고, 대한민국 국회는 "독립적이고 통일된 국가"를 위한 지속적인 전투를 지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그러나 6월 말, 국회는 정전 회담을 지지하기로 결정했지만, 이승만 대통령은 계속해서 이에 반대했다.[8]

이승만과 마찬가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김일성 또한 완전한 통일을 추구했다. 북한 측은 정전 회담을 지지하는 데 늦었고, 정전 회담이 시작된 지 17일 후인 1951년 6월 27일에야 "적을 바다로 몰아내자"라는 구호를 "적을 38선으로 몰아내자"로 변경했다. 북한은 동맹국인 중화인민공화국소련의 압력을 받아 정전 회담을 지지하게 되었고, 이들의 지원은 북한이 계속 싸울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3. 2.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은 휴전 회담에 대해 반대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북진통일을 주장하는 '북진통일 국민 총궐기대회'가 개최되어 휴전에 대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135] 그러나 1950년 7월 이승만 대통령이 맥아더 원수에게 작전통제권을 이양했기 때문에 대한민국은 독자적인 군사적 행동을 할 수 없었다.[135] 이러한 상황에서 전쟁이 고착화되면서 1953년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135]

38선 정전 반대 국민 총궐기대회의 모습


북진통일 국민 총궐기대회의 모습 1


북진통일 국민 총궐기대회의 모습 2


북진통일 국민 총궐기대회의 모습 3


북진통일 국민 총궐기대회의 모습 4


1951년 5월 말과 6월 초, 이승만 대통령은 평화 회담에 반대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압록강까지 진격하여 국가를 완전히 통일하기 위해 군대를 계속 확장해야 한다고 믿었다.[8] 유엔군 사령부는 이승만의 입장을 지지하지 않았다.[8] 유엔군 사령부의 지원 없이도, 이승만과 대한민국 정부는 압록강까지의 전투 중단에 저항하기 위해 대중을 동원하려 했다. 다른 대한민국 관리들도 이승만의 야망을 지지했고, 대한민국 국회는 "독립적이고 통일된 국가"를 위한 지속적인 전투를 지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그러나 6월 말, 국회는 정전 회담을 지지하기로 결정했지만, 이승만 대통령은 계속해서 이에 반대했다.[8]

3.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지도자 김일성대한민국(남한)의 이승만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완전한 통일을 추구했다. 그러나 전선이 교착되고 인적, 물적 손실이 커지면서 휴전 협상 쪽으로 기울게 되었다.[67] 미국의 공습과 핵 공격 위협에 직면한 김일성은 휴전을 원하게 되었다.[68]

북한은 정전 회담을 지지하는 데 늦었고, 1951년 6월 27일에야 "적을 바다로 몰아내자"라는 구호를 "적을 38선으로 몰아내자"로 변경했다.[8] 북한은 동맹국인 중화인민공화국소련의 압력을 받아 정전 회담을 지지하게 되었는데, 이들의 지원은 북한이 계속 싸울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1951년 6월 10일, 가오강과 김일성이 함께 모스크바로 가서 6월 13일 이오시프 스탈린과의 회담에서 설득한 결과, 마침내 휴전 협의에 동의했다.[71] 휴전 협의 책임은 마오쩌둥에게 위임되었고,[72] 가장 중요한 문제에 관해서는 크렘린의 충고를 따르도록 했다.[73]

3. 4. 중화인민공화국

1950년 10월 25일, 마오쩌둥공산당 주석의 주도 하에 펑더화이 군사위원회 부주석이 지휘하는 중국 인민지원군이 참전하여, 중조 연합 사령부에 의해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휘가 통일되었다. 같은 해 12월 16일, 중국의 외교관 伍修权|우슈취안중국어미국에서의 기자 회견에서 외국군 철수, 미국군의 타이완 해협 철수, 유엔 가입을 요구했다. 이는 당시 중국의 휴전 조건으로 여겨졌지만, 미국 측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웠다.[69] 1951년 4월 지원군의 춘계 공세가 좌절되고, 6월에 전선이 교착되면서 중국 또한 협상으로 기울었지만, 마오쩌둥은 체면을 중시하여 일체의 양보를 하지 않았다. 그는 휴전을 원하는 김일성에게 "김일성 동지! 휴전은 패전으로 이어지는 한 걸음이다. 우리는 전쟁 덕분에 단련되었고, 미국 제국주의와 싸우는 귀중한 경험을 얻고 있지 않은가"라며 휴전을 거부했다.[68] 그러나 1953년 3월, 스탈린이 사망하자, 마오쩌둥은 전화를 수습하는 데 동의했다.[68]

3. 5. 소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김일성대한민국이승만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완전한 통일을 추구했다. 그러나 전선이 교착되고 인적, 물적 손실이 커지면서 휴전 협상 쪽으로 기울었다.[67] 미국의 공습과 핵 공격 위협에 직면한 김일성은 휴전을 원하게 되었다.[68] 초기에는 휴전 회담을 지지하는 데 시간이 걸렸지만, 1951년 6월 27일, "적을 바다로 몰아내자"라는 구호를 "적을 38선으로 몰아내자"로 변경했다.[8]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후방에서 지원하고 전쟁을 독려했던 소비에트 연방의 스탈린 당 서기장 겸 수상은 휴전에 소극적이었다. 스탈린은 휴전을 원하는 김일성에게 "우리는 중국 대표단과 이 문제를 논의했고, 휴전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상이다"라며 상대하지 않았다.[68] 그는 전쟁 지속이 공산 측에 유리하며, 중국이 현대전을 배울 수 있고, 제3차 세계 대전을 연장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70] 그러나 1951년 6월 10일, 가오강과 김일성이 함께 모스크바로 가서 6월 13일 스탈린과 회담하여 설득한 결과, 마침내 휴전 협의에 동의했다.[71] 휴전 협의 책임은 마오쩌둥에게 위임되었고,[72]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크렘린의 조언을 따르도록 했다.[73]

1951년 6월 23일, 소련의 유엔 대표 야코프 말리크는 라디오 연설에서 휴전 협의를 제안했고, 이것이 큰 계기가 되었다.[74]

4. 협상 과정

휴전에 대한 논의는 양측에서 계속 이루어졌다. 유엔군 측은 1950년 12월 미국과 영국이 평화 협정에 합의했으나, 공산 측의 반대로 유엔 총회에서 실패했다. 공산 측은 1951년 6월 13일 모스크바 회담에서 "38도선을 경계로 복구하는 조건에서 휴전이 유익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휴전 협정을 위한 양측 회담은 1951년 7월 10일부터 시작되었다.[125] 1953년 유엔에서 인도가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을 제안하였다.[126][127][128]

1951년 회담 장소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영어 텍스트. 오른쪽 하단에 해리슨의 서명


1951년 7월 10일 황해도 개성에서 시작된 회담은, 주요 의제 합의에도 불구하고 난항을 겪었다. 특히 1951년 8월 23일, 북한 측이 회담 장소 폭격을 주장하며 회담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후 회담 장소는 경기도 판문점으로 변경되었다.

1951년 10월 11일 미국과 북한 군부 간 대령급 회담


난항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포로 송환 문제였다. 많은 중국 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 병사들이 송환을 거부하면서, 이 문제는 중립국 송환 위원회를 통해 해결하기로 합의되었다.

1952년 미국 대통령으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당선되고, 요제프 스탈린이 사망하는 등의 변화 속에서, 1953년 3월부터 협상은 진전을 보이기 시작했다.

휴전 협정이 서명된 건물 (현재 북한 평화 박물관)

4. 1. 주요 의제

휴전 회담은 1951년 7월 10일, 남한과의 접경 지역인 황해도 북한 도시 개성에서 시작되었다.[2] 양측 주요 협상 대표는 북한 부총리 겸 인민군 총참모장 남일 대장과 미국 해군 부제독 찰스 터너 조이였다.[3] 2주 후인 1951년 7월 26일, 다음 5개항의 의제가 합의되었다.[4]

번호내용
1의제 채택.
2한국에서의 적대 행위 중단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비무장지대 설정을 위해 양측 간 군사 분계선 확정.
3휴전 및 정전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휴전 및 정전 조건 이행 감독 기구의 구성, 권한, 기능 포함).
4포로에 관한 사항.
5양측 관련 정부에 대한 권고.[4]



이 의제는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조인까지 회담을 이끌었다. 의제 결정 후 회담은 느리게 진행되었고, 회의 간 긴 간격이 있었다. 가장 긴 중단은 1951년 8월 23일에 시작되었는데,[4] 북한과 동맹국들이 개성 회담 장소가 폭격당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유엔군에게 즉각적인 조사를 요청했고, 유엔군 항공기가 회담 장소를 공격했다는 증거가 있다고 결론 내렸으나, 그 증거는 조작된 것으로 보였다. 공산군은 이후 일광 조사 허용을 거부했다.[5]

휴전 회담은 1951년 10월 25일까지 재개되지 않았다.[2] 미국은 개성에서 추가 논의를 허용하지 않았고,[6] 인접한 경기도 판문점이 남북한 모두에 가까워 새로운 협의 장소로 선택되었다. 이는 마을 보호 책임을 양측이 공유하는 조건이었다.[7]

주요하고 문제적인 협상 지점은 포로 송환이었다.[8] 공산군은 10,000명, 유엔군은 150,000명을 억류하고 있었다.[9] 중국 인민지원군, 조선인민군, 유엔군은 많은 중국 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 병사들이 북한 송환을 거부하여 송환 시스템에 동의할 수 없었다.[10] 이는 중국과 북한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1953년 7월 27일 서명된 최종 휴전 협정에서 인도군 장군 K. S. 티마이야가 의장을 맡은 중립국 송환 위원회가 이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1]

1953년 7월 19일, 대표단은 의제의 모든 문제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12]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휴전 협정은 조선인민군과 중국 인민지원군 대표 남일과 유엔군 대표 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에 의해 서명되었다.[13]

4. 2. 난항과 진전

휴전에 대한 논의는 양측에서 이루어졌다. 유엔군 측은 1950년 12월 미국과 영국 사이에서 평화 협정을 맺었으나, 공산 측의 반대로 유엔 총회에서 실패했다. 공산 측은 1951년 6월 13일 모스크바 회담에서 "38도선의 경계선을 복구하는 조건에서 휴전이 유익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1951년 7월 10일부터 양측의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125] 1953년 유엔에서 인도가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을 제안했다.[126][127][128]

휴전 회담은 1951년 7월 10일, 남한과의 접경 지역인 황해도 북한 도시 개성에서 시작되었다. 양측 주요 협상 대표는 북한 부총리 겸 육군 참모총장 남일과 미국 해군 부제독 찰스 터너 조이였다. 2주 후인 1951년 7월 26일, 다음 5개 항의 의제가 합의되었다.

# 의제 채택.

# 한국에서의 적대 행위 중단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비무장 지대를 설정하기 위해 양측 간의 군사 분계선을 확정.

# 휴전 및 정전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여기에는 휴전 및 정전 조건 이행을 위한 감독 기구의 구성, 권한 및 기능이 포함된다.

# 포로에 관한 사항.

# 양측 관련 정부에 대한 권고.

영문 한국 휴전 협정 (1953년 6월 8일 한국 휴전 협정 및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에 대한 임시 부록 협정)


의제가 결정된 후 회담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1951년 8월 23일, 북한과 그 동맹국들은 개성의 회담 장소가 폭격당했다고 주장하며 회담이 중단되었다. 북한은 유엔군에게 조사를 요청했고, 유엔군 항공기가 회담 장소를 공격했다는 증거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으나, 증거는 조작된 것으로 보였다. 공산군은 이후 일광 조사 허용을 거부했다. 휴전 회담은 1951년 10월 25일까지 재개되지 않았다. 미국은 개성에서 추가 논의를 허용하지 않았다. 인접한 경기도판문점이 새로운 협의 장소로 선택되었으며, 마을 보호 책임은 양측이 공유하는 조건이었다.

주요 난제는 포로 송환 문제였다. 공산군은 10,000명, 유엔군은 150,000명을 억류하고 있었다. 중국 인민지원군, 조선인민군, 유엔군은 많은 중국 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 병사들이 북한으로 송환되기를 거부하여 송환 시스템에 동의할 수 없었다.[9] 이는 중국과 북한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1953년 7월 27일에 서명된 최종 휴전 협정에서 인도군 장군 K. S. 티마이야가 의장을 맡은 중립국 송환 위원회가 이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2년 미국은 새로운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를 선출했고, 1952년 12월 2일[10] 그는 전쟁을 끝낼 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한국으로 갔다. 유엔이 인도의 제안인 한국 전쟁 휴전을 수용하면서,[11] 조선인민군, 중국 인민지원군, 유엔군은 38도선 북쪽에 있는 유엔군 진지선인 작전 래기드에서 설정된 캔자스 선을 따라 전투를 중단했다.[12] 북한과 남한 간의 국경 획정에 관한 어려움으로 인해 논의는 천천히 진행되었다. 중국과 북한은 분계선이 38도선에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몇 주 안에 양국 모두 캔자스 선을 수용했다. 1953년 3월, 요제프 스탈린의 사망은 협상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당시 중국 지도자 마오쩌둥은 타협할 의사가 없었지만, 새로운 소련 지도부는 스탈린 사망 2주 후에 적대 행위를 조속히 종식하라고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1953년 7월 19일, 대표단은 의제의 모든 문제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13]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휴전 협정은 조선인민군과 중국 인민지원군 대표인 남일과 유엔군 대표 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에 의해 서명되었다.[2]

5. 협정의 주요 내용

정식 명칭은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이다. 영어, 중국어, 한국어로 된 정본은 모두 동등한 효력을 가진다.[81]

군사 분계선과 이전 38선의 사실상 경계 비교


김일성의 정전 협정 서명


서명 전의 휴전 협정 텍스트


정전 협정의 주요 특징은 어떤 국가도 이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순전히 군사 문서이다.[14]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

  • 군사 분계선 및 비무장 지대: 군사 분계선(MDL)과 비무장 지대(DMZ)를 설정했다. DMZ는 양측 한국 국가 사이에 약 4.02km의 요새화된 완충 지대로 합의되었다. DMZ는 정전 협정 서명 당시 양측이 실제로 대치했던 캔자스 선을 따른다.
  • 정화(停火) 및 정전(停戰)의 구체적 조치:
  • 총칙
  • 군사 정전 위원회
  • 구성
  • 임무 및 권한
  • 총칙
  • 중립국 감시 위원회
  • 구성
  • 임무 및 권한
  • 총칙
  • 전쟁 포로에 관한 조치: 협정이 발효된 후 60일 이내에 각 측은 억류 중인 모든 전쟁 포로 중 본인이 체포 당시 소속된 측으로의 송환을 주장하는 모든 포로를 직접 송환하고 인도해야 한다.[2]
  • 쌍방 관계 정부들에 보내는 건의
  • 부칙:
  • 중립국 송환 위원회에 관한 부칙 조항
  • 일반 조항
  • 포로 관리
  • 설득
  • 포로 처리
  • 적십자 방문
  • 언론 기관 보호
  • 포로에 대한 수송 지원
  • 중립국 송환 위원회에 대한 수송 지원
  • 공표
  • 이동
  • 절차상 사항
  • 휴전 협정 보충 잠정 협정


정전 협정은 정부 간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합의가 아닌, 군대 간의 휴전일 뿐이다.[15] 공식적인 평화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고, 관계 정상화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6. 정전 협정 서명

1953년 7월 27일, 유엔군을 대표하여 미국 육군의 William Kelly Harrison, Jr.|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영어 중장과, 조선인민군 및 중국 인민지원군 (중조 연합사령부)을 대표하여 남일 대장정전 협정에 서명했다.[65] 이후 유엔군 총사령관 마크 W. 클라크 대장,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 펑더화이,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이 서명했다.[80]

정전 협정은 "최종적인 평화 해결이 성립될 때까지 조선에서의 전쟁 행위와 모든 무력 행사의 완전한 중지를 보장한다"라고 규정했다.[79] 그러나 "최종적인 평화 해결"(Peace Treaty on Korean Peninsula|한반도 평화 조약영어)은 2024년 현재까지도 아직 성립되지 않았다.

휴전 협상은 1951년 7월 10일 개성시에서 시작되었으며,[78] 주요 의제는 다음과 같았다.

순서내용
1협의 사항의 채택
2비무장 지대를 만들기 위한 군사 경계선 고정
3정전 및 휴전 감시 기관 구성 등 구체적인 협정
4포로에 관한 협정
5쌍방 관계 각국 정부에 대한 권고[77]



포로 송환 문제와 군사 경계선 설정 문제 등으로 난항을 겪었으나, 1953년 3월 스탈린 사망 이후 협상이 가속화되어 1953년 7월 19일 모든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78]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에 판문점에서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서명 후 12시간 뒤에 발효되었다.[65]

7. 협정 체결 이후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 협정으로 한국 전쟁은 실질적으로 끝났지만, 평화 조약이 체결되지 않아 법적으로는 정전 상태가 유지되었다.[65] 이러한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유엔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 감독위원회가 설치되었다.[136]

부산 수용소의 중국군 및 조선인민군 포로들


정전 협정 제1조에 따라 남북한을 분단하는 총 길이 248km의 군사 분계선(MDL)이 설치되었다.[82] 이 군사 분계선은 양측 군대가 2km씩 후퇴하여 폭 4km의 비무장 지대(DMZ)를 형성하는 완충 지대 역할을 했다.[83]

정전 협정은 포로 송환에 대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었는데, 협정 발효 후 60일 이내에 송환을 원하는 모든 포로를 인도하도록 규정했다.[65] 그러나 북한과 중국 군인 22,000명이 송환을 거부했으며, 한국, 미국, 영국 군인 일부도 북한과 중국에 남았다.

협정 제60절은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3개월 이내에 고위급 정치 회담을 개최하도록 권고했다.[65] 이에 따라 1954년 4월 제네바에서 정치 회담이 열렸으나, 외국 군 철수 문제 등에서 성과 없이 결렬되었다.[66][84]

1990년대 북핵 위기가 고조되면서 북한은 정전 협정 무력화를 시도했다.[136] 2013년에는 정전 협정이 파기되었다고 선언하기도 했다.[136]

2018년 남북 정상 회담에서 종전 선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관련 논의도 중단되었다.

정전 협정은 전쟁을 멈추고 군사 분계선을 확립했지만, 평화 조약 체결로 이어지지 못하고 2024년 현재까지도 불안정한 정전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7. 1. 대한민국 내 여론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은 휴전 회담에 대해 반대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북진 통일을 주장하며 휴전에 반대하는 북진통일 국민 총궐기대회가 열렸다.[135] 그러나 1950년 7월, 이승만 대통령이 맥아더 원수에게 작전지휘권을 이양했기 때문에 대한민국은 독자적인 군사 행동을 할 수 없었다.[135] 이러한 상황에서 전쟁이 고착화되자, 결국 1953년에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135]

휴전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이승만 대통령은 1951년 5월 후반부터 6월 초반에 걸쳐 어떠한 평화 회담도 거부했다. 그는 압록강까지 진군하여 완전한 남북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북진 통일」론).[135] 국회 또한 만장일치로 "독립, 통일된 국가"를 향해 싸움을 계속하자는 결의를 채택하였다.[135]

7. 2. 유엔군 군사정전위원회 및 중립국 감독위원회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협정의 의무와 이행 여부를 감독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0년대 북핵 위기가 고조되면서 북한은 군사정전위원회 및 중립국 감독위원회를 무력화시키려고 시도하였으며, 2013년에는 정전 협정이 파기되었다고 선언했다.[136]

포로 송환 문제 처리를 위해 중립국 송환 위원회가 설립되었다.[76] 또한, 한반도 전역에서 활동하는 중립국 감시 위원회(NNSC)가 설립되었으며, 구성 국가는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스웨덴, 스위스이다.[77]

7. 3. 북한의 정전 협정 무력화 시도

1989년 세계 청년 학생 축전(평양) 당시 북한이 협정을 폐기하겠다고 발표하기 전의 현수막 모습이 있다.

1989년 세계 청년 학생 축전(평양) 당시 북한이 협정을 폐기하겠다고 발표하기 전의 현수막 묘사.


북한은 1994년, 1996년, 2003년, 2006년, 2009년, 2013년 최소 6차례에 걸쳐 정전을 더 이상 준수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136][114][115]

  • 1994년 4월 28일, 북한은 군사정전위원회의 참여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판문점에서 연락 장교를 통해 연락을 유지하고 정전의 일반적 조건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미국이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대한민국에 배치한 것을 정전 협정의 종료로 간주한다고 말했다.[136]

  • 1994년 9월 3일, 중국은 북한과 함께 군사정전위원회에서 탈퇴하여 참여를 중단했다.[136]

  • 2002년 1월,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그의 첫 2002년 연두교서에서 북한을 악의 축의 일부로 규정했다.

  • 2006년 10월 북한은 첫 핵무기 실험을 실시했다.

  • 2010년에는 두 건의 고립된 폭력 사건이 발생했다.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었지만 부인된 천안함 침몰 사건과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이었다.

  • 2010년, 평화 조약에 대한 미국의 입장은 북한이 "비가역적인 비핵화 조치를 취해야" 협상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136]

  • 2011년, 대한민국은 북한이 정전 협정을 221회 위반했다고 밝혔다.[136]

  • 2013년, 북한은 정전 협정이 과도기적인 조치였으며 북한이 정전 협정을 평화 조약으로 대체하기 위한 여러 제안을 했지만 미국이 진지하게 응답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감독위원회(NNSC)가 오랫동안 사실상 해체되어 정전의 감독 기능이 마비되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연례적인 미국과 대한민국의 군사 훈련인 키 리졸브와 독수리 훈련이 도발적이며 핵무기로 북한을 위협한다고 생각한다.[136][117] 중앙일보는 핵무기를 탑재한 미국 선박이 훈련에 참여했다고 보도했고,[118] 미국 국방부는 대한민국 상공을 비행하는 B-52 폭격기가 대한민국에 대한 미국의 "핵우산"을 재확인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발표했다.[119]

  • 2013년 3월, 북한은 대한민국과의 모든 불가침 조약을 폐기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국경을 폐쇄하고 양국 간의 직통 전화선을 차단했다. 북한은 선제적인 핵 공격을 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유엔 대변인은 정전 협정이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었으며 북한이나 대한민국 어느 쪽도 일방적으로 해산할 수 없다고 말했다.[120][121]

  • 2013년 3월 28일, 미국은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 2대를 대한민국에 보내 해당 지역에서 진행 중인 군사 훈련에 참여시켰으며, 대한민국 폭격 훈련장에 불활성 탄약을 투하했다. 이것은 미국에서 한국으로의 B-2의 무착륙 왕복 임무였다.[122] 이 임무 이후, 북한 관영 매체는 미국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로켓을 대기 상태로 만들고 있다고 발표했다.[123]

  • 2013년 5월, 북한은 정전 협정을 대체할 평화 조약을 위한 협상에 들어갈 것을 제안했다.[136]

  • 2016년 8월, 북한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 위치한 돌아오지 않는 다리 주변의 최전선 국경 경비병의 탈북을 막기 위해 대인 지뢰를 설치했다. 유엔군 사령부는 무장 경비와 대인 지뢰를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정전 협정을 위반했다며 이 조치에 항의했다.[136]

  • 2016년, 북한이 공식적인 평화 회담을 제안했을 때, 미국은 북한이 이미 "비가역적인 비핵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선결 조건에서 북한의 핵 프로그램 중단을 포함하는 협상 입장으로 입장을 조정했다.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주기적으로 이 아이디어를 제기하지만 실제로 진전되지 않는다"고 말했다.[136]

7. 4. 평화 협정 논의

실질적으로 전쟁이 정전으로 끝났기 때문에, 유엔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 감독위원회가 정전 협정의 의무와 이행 여부를 감독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0년대 북핵 위기가 고조되면서 북한은 군사정전위 및 중립국 감독위를 무력화시키려고 시도하였으며, 2013년에는 정전 협정이 파기되었다고 선언하기도 했다.[136] 이후 2018년 문재인 정부에서 종전 선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었으나,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종전에 대한 논의도 종결되었다.

휴전 협정 제4조 (60항)는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보장하기 위해" 협정 서명 후 3개월 이내에 정치 회담을 개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2] 1954년 4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회담이 열렸는데, 3개월 기한을 6개월이나 넘겼다. 회담은 한국에서의 분쟁과 인도차이나에서의 분쟁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 분쟁에 대한 회담 참가자는 미국, 소련, 프랑스, 중국, 북한, 남한이었다. 중국 외교관 저우언라이는 미국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에게 한반도 평화 협정을 공식적으로 제기했지만, 진전은 없었다.[3] 미국은 다른 대표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평화 조약" 논의를 의도적으로 회피했다.

1975년, 유엔 총회는 정전 협정을 평화 조약으로 대체하고 유엔군 사령부(UNC)를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의안을 채택했다.[27][28] 이어서 북한은 미국과의 평화 회담을 시작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미국은 중국이 북한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29]

1996년 10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인 온두라스의 성명을 통해 새로운 평화 기구로 대체될 때까지 정전 협정을 완전히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이 성명에 동의한 국가에는 정전 협정의 서명국인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포함되어, 정전 협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주장을 사실상 반박했다.[27]

1987년 12월, 북한은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서기장을 통해 미국에 휴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전환하는 것 등을 제안했지만, 전 달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을 이유로 로널드 레이건미 대통령은 거부했다.[100]

1997년 12월부터 1999년 4월까지 5차례에 걸쳐 제네바에서 열린 미국, 중국, 북한, 대한민국의 4자 회담에서 의제가 되었지만, 남북 간의 평화 협정을 주장하는 대한민국과 미북 간의 평화 협정을 주장하는 북한의 의견이 대립하면서 무산되었다.[101][102]

2000년 10월, 북미 공동 코뮤니케에서는 휴전 협정을 견고한 평화 보장 체계로 대체하기 위해 4자 회담 등 다양한 방법을 인정하는 데 미국과 북한이 일치했다.[103]

2007년, 제2차 남북 정상 회담에서 채택된 "10·4 선언"의 제4항에 당시 문재인 추진위원장에 의해 휴전 협정의 서명국인 미국, 중국, 북한의 3개국 또는 한국 전쟁의 교전국인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의 4개국에서 종전 선언과 평화 협정을 목표로 하는 것이 포함되었고[104], 당시 대한민국의 노무현 대통령이 이를 타진했을 때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흔쾌히 동의했지만 중국의 후진타오국가 주석(당 총서기)가 응하지 않아 실현되지 못했다.[105]

2018년 3월, 중국의 시진핑 국가 주석(당 총서기)이 미국, 중국, 북한, 대한민국의 4개국에 의한 평화 협정을 포함하는 "새로운 안전 보장 틀"을 미국에 촉구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찬반을 보이지 않았다.[106][107] 같은 해 4월, 트럼프 미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남북 정상 회담에서 휴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전환하려는 의향을 환영한다고 언급했고[108], 2018년 남북 정상 회담에서는 평화 협정 체결을 목표로 항구적인 평화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남·북·미·중 4자 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하는 데 대한민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일치했다.[109][110]

2018년 6월 12일, 트럼프 미 대통령은 사상 최초의 북미 정상 회담 후 기자 회견에서 "평화 조약에는 중한도 서명했으면 좋겠다. 중국과, 법적으로 문제가 있어도 한국도 참여하면 훌륭하다"라고 언급했다.[111]

2019년 1월 1일, 김정은 위원장은 조선중앙TV에서 "휴전 협정 당사자들과의 긴밀한 연계 하에 한반도의 현재 휴전 체제를 평화 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다자간 협상도 적극 추진한다"는 신년사를 발표했다.[112]

2021년 12월 13일, 문재인 대통령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공동 기자 회견에서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4자가 한국 전쟁의 공식적인 종결을 선언하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라고 발표했다.[113]

7. 5. 미국의 정전협정 위반

1958년 한국에 배치된 미국의 핵무기


정전 협정 제13조 d항은 양측 모두 장비의 대체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무기를 한국에 반입할 수 없도록 규정했다.[16] 1956년 9월, 미국의 래드퍼드 제독은 미국 군대가 핵무기를 한국에 반입할 의도가 있음을 밝혔고, 이는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동의를 받았다.[17]

북한의 제트 전투기 수 증가 (0대에서 500대로 증가), 제트기 사용 가능 비행장 증가 (0개에서 25개로 증가), 제3국 검사단의 검사 지연 및 중단 등의 상황에서, 미국은 유엔 동맹국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정전 협정을 위반하며 제13조 d항을 일방적으로 파기했다.[18][19] 1957년 6월 21일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에서 미국은 유엔군 사령부가 더 이상 정전 협정 제13조 d항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북한 대표에게 통보했다.[20][21]

1958년 1월, 핵무기를 탑재한 정직한 존 미사일과 280mm 원자포가 한국에 배치되었으며,[22] 1년 안에 원자력 파괴 탄약[23]과 중국과 소련까지 사정거리에 둔 핵무기 탑재 매터도어 순항 미사일이 배치되었다.[24]

북한은 미국이 더 일찍 새로운 무기를 반입했다고 주장하며, 1953년 8월부터 1954년 4월까지의 중립국감독위원회(NNSC) 검사 보고서를 증거로 제시했다.[17][25] 미국은 북한이 제13조 d항에 위반되는 새로운 무기를 반입했다고 보았지만, 구체적인 혐의는 제기하지 않았다.[26]

제13조 d항 파기 후, 중립국감독위원회(NNSC)는 기능을 상실하고, 비무장 지대(DMZ)에 소규모 사무실을 두는 데 그쳤다. 북한은 제13조 d항 파기를 비난했다.[19] 북한은 핵 공격에 대비해 대규모 지하 요새를 건설하고, 재래식 군대를 전진 배치하여 핵무기 사용 시 한국과 미국의 군대까지 위험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군사적 대응을 했다. 1963년 북한은 소련과 중국에 핵무기 개발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7. 6. 정전 협정의 의의와 한계

1975년 유엔 총회는 정전 협정을 평화 조약으로 대체하고 유엔군사령부(UNC)를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의안을 채택했다.[27][28] 그러나 미국은 중국이 북한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29]

1996년 10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인 온두라스의 성명을 통해 새로운 평화 기구로 대체될 때까지 정전 협정을 완전히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이 성명에는 정전 협정 서명국인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동의하여, 정전 협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주장을 사실상 반박했다.[27]

1953년 7월 27일에 서명된 휴전 협정은 "최종적인 평화 해결이 성립될 때까지 조선에서의 전쟁 행위와 모든 무력 행사의 완전한 중지를 보장한다"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최종적인 평화 해결"(Peace Treaty on Korean Peninsula|한반도 평화 조약영어)은 2024년 현재까지도 아직 성립되지 않았다.

서명된 휴전 협정은 한반도에 사실상의 새로운 국경인 군사 분계선을 만들고, 정전으로 전투를 중지시키고 포로의 본국 송환을 종료했다. 군사 분계선은 전쟁 전에 남북한을 가르던 38선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

휴전 협정은 포로에 관한 규정도 두었다. 합의에서는 "이 합의가 발효된 후 60일 이내에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당사자는 직접 포로의 송환을 실시하고, 묶여 포로로 된 쪽에 송환을 요구하는 포로 전부를 인도한다"고 규정했다.[65] 결국, 북한과 중국 군인 22,000명이 송환을 거부했다. 한편, 한국 군인 327명과 미국 군인 21명, 영국 군인 1명도 송환을 거부하고, 북한과 중국에 남았다.

휴전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평화 조약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종결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8. 기념

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한국전쟁 정전 기념일을 지지하는 포고문을 발표해 왔다. 예를 들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7월 26일, 7월 27일을 한국전쟁 참전용사 정전 기념일로 선포했다.[58][59][6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7월 27일을 조국 해방 전쟁 승리의 날이라는 국가 공휴일로 기념한다.[61][62]

참조

[1] 웹사이트 Document for July 27th: Armistice Agreeme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South Korean State https://www.archives[...] 2012-12-13
[2] 웹사이트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http://news.findlaw.[...] Thomson Reuters 1953-07-27
[3] 웹사이트 North Korea: Why negotiations can't wait for denuclearisation http://www.afr.com/o[...] 2018-02-09
[4] 서적 Peace and Reconciliation: In Search of Shared Identit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3-05-28
[5] 뉴스 Chinese and South Koreans Formally Establish Relations https://www.nytimes.[...] 1992-08-24
[6] 뉴스 China, Backing North Korea, Quits Armistice Commission https://www.nytimes.[...] 1994-09-03
[7] 웹사이트 N.K. commits 221 provocations since 1953 http://www.koreahera[...] 2011-01-05
[8] 뉴스 Allies Ready to Sign Armistice Without Syngman Rhee https://news.google.[...] Cowles Company 1953-07-01
[9] 웹사이트 Fighting While Talking: The Korean War Truce Talks http://www.oah.org/p[...] Organization of American Historians 2000
[10] 웹사이트 Online Documents: Korean War https://www.eisenhow[...]
[11] 웹사이트 Military Armistice in Korea: A Case Study for Strategic Leaders http://www.dtic.mi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12] 서적 Korea 1951–1953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Department of the Army 1997
[13] 웹사이트 The Korean War Timeline http://www.authentic[...] Salem Media Group
[14] 뉴스 United Nations Command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UNCMAC) https://www.canada.c[...] Canadian Armed Forces 2019-03-14
[15] 웹사이트 Armistice Agreeme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South Korean State (1953) July 27, 1953 http://seoul.usembas[...] U.S. Department of State
[16] 문서 New Equipment for U.S. Forces in Kore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1957-03-29
[17]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18] 문서 Defense proposal to authorize the introduction of 'Honest John' and the 280 millimeter gun in Kore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1956-11-28
[19] 간행물 U.S. Deployment of Nuclear Weapons in 1950s South Korea &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Towar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nglish version) http://www.japanfocu[...] Data Momentum Inc. 2009-02-17
[20] 뉴스 KOREA: The End of 13D http://www.time.com/[...] 1957-07-01
[21] 보고서 Statement of U.S. Policy toward Kore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1957-08-09
[22] 뉴스 News in Brief: Atomic Weapons to Korea https://www.youtube.[...] Universal International Newsreel 1958-02-06
[2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S. Nuclear Weapons in South Korea http://www.scout.com[...] CBS Interactive 2017-09-10
[24] 뉴스 'Detailed Report' Says US 'Ruptured' Denuclearization Process http://www.fas.org/n[...]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3-05-12
[25] 웹사이트 Replacement of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Prerequisite to a lasting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http://oldsite.nauti[...] Nautilus Institute 1997-05-07
[26] 문서 Modernization of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1957-06-17
[27] 웹사이트 Ending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e Legal Issues http://www2.law.colu[...] Nautilus Institute 1997-03
[28] 웹사이트 Resolution 3390 http://www.worldlii.[...]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1975-11-18
[29] 웹사이트 Chinese-North Korean Relations: Drawing the Right Historical Lessons http://www.38north.o[...]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7-09-26
[30]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jor North Korean statements on the Korean War armistice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09-05-28
[31] 뉴스 North Korea ends peace pacts with South https://www.bbc.co.u[...] 2013-03-08
[32] 웹사이트 The End of The Korean War Cease-Fire: Does It Matter? http://www.rferl.org[...] BBC 2009-06-05
[33] 웹사이트 DPRK: New Arrangements – The Secretary's Morning Intelligence Summary http://www.gwu.edu/~[...] U.S. Department of State 1994-04-29
[34] 웹사이트 DPRK: Raising the Armistice Issue – The Secretary's Morning Intelligence Summary http://www.gwu.edu/~[...] U.S. Department of State 1994-09-10
[35] 뉴스 The U.S. Must Talk to North Korea https://www.nytimes.[...] 2017-01-12
[36] 보고서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nd Diplomacy https://fpc.state.go[...]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0-01-05
[37] 뉴스 Korean Armistice Agreement Will No Longer Exist: Rodong Sinmun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3-03-07
[38] 뉴스 U.S. nukes to remain in South http://koreajoongang[...] 2013-03-12
[39] 뉴스 North Korea Threatens U.S. Military Bases in the Pacific https://www.nytimes.[...] 2013-03-21
[40] 웹사이트 North Korea ends peace pacts with South https://www.bbc.co.u[...] BBC 2013-03-08
[41] 뉴스 UN Says Korean War Armistice Still in Force http://bigstory.ap.o[...] 2013-03-11
[42] 뉴스 U.S. Runs Practice Sortie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2013-03-28
[43] 웹사이트 North Korea readying rockets to aim at U.S. targets, state media says http://www.cnn.com/2[...] CNN 2013-03-28
[44] 뉴스 N. Korea's Peace Talks Proposal Meets With U.S. Skepticism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3-06-17
[45] 웹사이트 Source: N. Korea Installs Land Mines near Truce Village to Stop Escapes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8-23
[46] 뉴스 North Korea offered -- then rebuffed -- talks with U.S. http://edition.cnn.c[...] CNN 2016-02-23
[47] 뉴스 Could peace talks help defuse North Korea? https://www.japantim[...] 2016-03-05
[48]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vow to end the Korean War in historic accord https://www.cnn.com/[...] 2018-04-27
[49] 뉴스 Koreas make nuclear pledge after summit https://www.bbc.co.u[...] 2018-04-27
[50] 뉴스 US 'still hopeful' about N Korea summit https://www.bbc.com/[...] 2018-05-16
[51] 뉴스 Trump says 'We'll see' on North Korea summit, to insist on... https://www.reuters.[...] 2018-05-15
[52]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of President Donald J. Trum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airman Kim Jong U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t the Singapore Summit – the White House https://trumpwhiteho[...]
[53] 뉴스 Trump and Kim's joint statement https://www.reuters.[...] 2018-06-12
[54] 뉴스 North Korea's Kim says summit with Trump stabilized region, sees... https://www.reuters.[...] 2018-09-18
[55] 문서 kim-trump-singapore-summit-stability-827908
[56] 뉴스 Donald Trump hails 'exciting' summit agreements reached by Kim Jong Un and Moon Jae-in | the Straits Times https://www.straitst[...] 2018-09-19
[57] 뉴스 Even in absence, North Korea's presence felt at Tokyo Games https://apnews.com/a[...] 2021-07-28
[58] 뉴스 President Donald J. Trump Proclaims July 27, 2017, as National Korean War Veterans Armistice Day https://www.whitehou[...] White House 2017-07-26
[59] 트윗 President Trump Proclaims July 27, 2017, as National Korean War Veterans Armistice Day 2017-07-26
[60] 뉴스 President Trump Vows America Will Never Forget the Veterans of the 'Forgotten War' http://www.charisman[...] Charisma Media 2017-07-27
[61] 웹사이트 http://www.kplibrary[...]
[62] 뉴스 Kim Jong Un visits war graves ahead of North Korea's 'Day of Victory' http://worldnews.nbc[...]
[63] 웹사이트 Document for July 27th: Armistce Agreeme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South Korean State http://www.archives.[...]
[64] 문서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 Agreement between the Commander-in-Chief, United Nations Command, on the one hand, and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a military armistice in Korea / 朝鲜人民军最高司令官及中国人民志愿军司令员一方与联合国军总司令另一方关于朝鲜军事停战的协定
[65] 웹사이트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http://news.findlaw.[...] FindLaw 1953-07-27
[66] 서적 崔(2003年)、102ページ。 2003
[67] 서적 トルクノフ(2001年)、229-230ページ。 2001
[68] 뉴스 朝鮮戦争 不信と恐怖はなぜ生まれたのか? https://www.nhk.or.j[...] NHK 2019-03-01
[69] 서적 神谷(1990年)、136-137ページ。 1990
[70] 서적 下斗米(2004年)、82ページ。 2004
[7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7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7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7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7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76] 서적 The Korean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7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78] 논문 North Korea's Alliances and the Unfinished Korean War
[79] 웹사이트 The Korean War Timeline http://www.authentic[...] 2012-12-13
[80] 뉴스 Truce Is Signed, Ending The Fighting In Korea; P.O.W. Exchange Near; Rhee Gets U.S. Pledge; Eisenhower Bids Free World Stay Vigilant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1953-07-27
[81] 서적 조선 문제 전후 자료 제1권 / 조선 반도 근현대사 연표 · 주요 문서 일본 국제 문제 연구소 / 원서방
[8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8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8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8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8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87] 간행물 War Victory Day of DPRK Marked in Different Countries KCNA 2011-08-01
[88] 문서 New Equipment for U.S. Forces in Korea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Office of the Historian 1957-03-29
[89] 문서 Defense proposal to authorize the introduction of “Honest John” and the 280 millimeter gun in Korea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Office of the Historian 1956-11-28
[90] 서적 War and state terroris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Asia-Pacific in the long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91] 논문 U.S. Deployment of Nuclear Weapons in 1950s South Korea &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Towar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nglish version) http://www.japanfocu[...] The Asia-Pacific Journal 2009-02-17
[92] 뉴스 KOREA: The End of 13D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57-07-01
[93] 보고서 Statement of U.S. Policy toward Korea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Office of the Historian 1957-08-09
[94] 뉴스 News in Brief: Atomic Weapons to Korea http://www.youtube.c[...] Universal International Newsreel 1958-02-06
[95] 뉴스 'Detailed Report' Says US 'Ruptured' Denuclearization Process http://www.fas.org/n[...]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3-05-12
[96] 문서 Modernization of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Office of the Historian 1957-06-17
[97] 웹사이트 Replacement of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Prerequisite to a lasting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http://oldsite.nauti[...] Nautilus Institute 1997-05-07
[98] 논문 Ending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e Legal Issues http://www2.law.colu[...] Nautilus Institute 1997-03
[99] 웹사이트 Resolution 3390 http://www.worldlii.[...]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1975-11-18
[100] 뉴스 남북「연방공화국」북이 제안, 대한기 폭파로 결렬 https://web.archive.[...] 2018-03-31
[101] 뉴스 휴전 전환, 김정은씨의 태도에 달려 남북 정상 회담이 시금석으로 https://web.archive.[...] 2018-04-19
[102] 웹사이트 북한 99 https://web.sfc.keio[...] 게이오기주쿠 대학 쇼난후지사와 캠퍼스
[103] 뉴스 트럼프 대통령 “종전 선언 합의에 공감” 당사국 회담 가시권에 http://japan.hani.co[...] 2018-04-30
[104] 뉴스 [뉴스 분석]문 대통령, 남북·미북 회담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종전 선언”도 추진 http://japan.hani.co[...] 2018-03-22
[105] 뉴스 중국이 종전 틀 거부 한국, 노무현 정권이 의향 확인 https://web.archive.[...] 2018-03-31
[106] 뉴스 習氏、トランプ氏に新安保を提唱 米中南北の平和協定も http://www.tokyo-np.[...] 2018-04-06
[107] 뉴스 習近平主席 平和協定締結を提案か http://world.kbs.co.[...] 2018-04-04
[108] 뉴스 朝鮮戦争終結を議論へ 韓国「平和協定」転換目指す https://www.sankei.c[...] 産経デジタル|産経ニュース 2018-04-19
[109] 뉴스 朝鮮半島の非核化に尽力」、南北首脳が共同声明 https://www.afpbb.co[...] AFP BB NEWS Japan 2018-04-27
[110] 뉴스 「板門店宣言」の全文を、取り急ぎ日本語に訳してみました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 2018-04-28
[111] 뉴스 米朝首脳会談後のトランプ米大統領記者会見全文<後編>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6-21
[112] 뉴스 金正恩氏の演説要旨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9-03-27
[113] 뉴스 文大統領、朝鮮戦争終戦宣言で「原則合意」 韓国・北朝鮮・アメリカ・中国の4者で https://www.bbc.com/[...] BBC 2022-08-13
[114]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jor North Korean statements on the Korean War armistice http://english.yonha[...] Yonhap 2009-05-28
[115] 뉴스 North Korea ends peace pacts with South http://www.bbc.co.uk[...] BBC News 2013-03-08
[116] 웹사이트 The End of The Korean War Cease-Fire – Does It Matter? http://www.rferl.org[...] BBC 2009-06-05
[117] 뉴스 Korean Armistice Agreement Will No Longer Exist: Rodong Sinmun http://www.kcna.co.j[...] 2013-03-07
[118] 뉴스 U.S. nukes to remain in South http://koreajoongang[...] 2013-03-12
[119] 뉴스 North Korea Threatens U.S. Military Bases in the Pacific http://www.nytimes.c[...] 2013-03-21
[120] 웹사이트 North Korea ends peace pacts with South http://www.bbc.co.uk[...] BBC 2013-03-08
[121] 웹사이트 UN Says Korean War Armistice Still in Force http://bigstory.ap.o[...] Associated Press 2013-03-11
[122] 뉴스 U.S. Runs Practice Sortie in South Korea http://www.nytimes.c[...] 2013-03-28
[123]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edition.cnn.[...]
[124] 웹인용 북한 핵을 제거할것을, 지속 기다리기보다, 왜 당장 협상이 우선인가? North Korea: Why negotiations can't wait for denuclearisation http://www.afr.com/o[...] www.afr.com 2018-02
[125] 웹인용 휴전회담(休戰會談)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0-12-24
[126] 저널 Between the Blocs: India, the United Nations, and Ending the Korean War https://www.jstor.or[...] 2013
[127] 저널 Korean Crisis of 1950: Nehru's Peace Initiative https://www.jstor.or[...] 1994
[128] 웹인용 India’s Role in Korean War (1950-53) https://www.iasparli[...] 2023-09-02
[129] 웹인용 [정전 70년] 정전협정문에 빠진 이승만 서명…두고두고 ‘당사국 논란’ https://m.khan.co.kr[...] 2023-09-02
[130] 저널 [왜?] 왜 이승만은 휴전협정에 반대했을까? https://www.dbpia.co[...] 2005-09
[131] 웹인용 1953년 7월,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다! https://if-blog.tist[...] 2023-09-02
[132] 뉴스 헷갈리는 정전협정과 휴전협정···어쨌든 평화협정 체결이 답이다 https://news.naver.c[...]
[133] 웹사이트 정전·휴전·종전의 차이점? https://www.korea.kr[...]
[134] 뉴스 휴전 70주년인가, 정전 70주년인가? https://www.chosun.c[...]
[135] 웹인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0-12-24
[136] 웹인용 정전협정 63주년…끝나지 않은 전쟁 https://news.kbs.co.[...] 2024-03-28
[137] 웹사이트 정전·휴전·종전의 차이점? https://www.korea.kr[...]
[138] 뉴스 ‘휴전’ 70주년인가, ‘정전’ 70주년인가? https://www.chosun.c[...]
[139] 웹사이트 정전·휴전·종전의 차이점? https://www.korea.kr[...]
[140] 뉴스 휴전 70주년인가, 정전 70주년인가? https://www.chosu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